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복지 혜택 💰

2025년 생계급여·주거급여 기준 바뀝니다 – 지금 기준 놓치면 수급 탈락할 수 있습니다

by 김다2302 2025. 4. 13.

2025년 생계·주거급여 변경 – 지갑, 자동차, 주택, 계산기 등 수급기준 변화 요소 시각화 구성

▶ “작년엔 받았는데, 올해는 탈락됐다고요?”

2025년 4월 기준, 보건복지부는 생계급여·주거급여 수급 기준을 변경했습니다.
📌 기준 중위소득 상향, 📌 자동차 기준 완화, 📌 급지별 주거급여 지급액 조정
여러 변화가 한꺼번에 반영되면서,
신규 신청자에게는 기회가, ✅ 기존 수급자에겐 탈락 위험이 생긴 시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변경된 생계·주거급여 조건과 지급액,
자동차 기준 완화, 수급 루틴과 주의사항, 실수 방지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기준 중위소득 2025년 변경 사항

생계급여·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지급 조건이 달라집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가구별):

  • 1인: 2,390,213원
  • 2인: 3,932,658원
  • 3인: 5,025,353원
  • 4인: 6,097,773원
  • 5인: 7,108,192원

📍 생계급여 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 주거급여 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 기준이 높아졌기 때문에,
작년엔 탈락했더라도 올해는 수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혹시 기초연금 대상이신가요? → 기초연금 수급 기준 총정리


✅ 생계급여 최대 수급액 (소득 0원 기준)

가구원 수 2024년 지급액 2025년 지급액

1인 가구 733,328원 765,444원
2인 가구 1,177,022원 1,258,451원
3인 가구 1,511,688원 1,608,113원
4인 가구 1,833,570원 1,951,287원
5인 가구 2,144,143원 2,274,621원

📌 소득이 없으면 위 금액 그대로 지급되며,
📌 소득이 있으면 소득만큼 차감하여 지급됩니다.

👉 “내가 받을 수 있는 생계급여 금액은?” → 모의 계산 바로가기


✅ 주거급여 2025년 상향 (임차 가구 기준)

주거급여는 거주 지역(급지)과 가구원 수에 따라 상한액이 다릅니다.

📍 서울(1급지 기준):

  • 1인: 352,000원
  • 2인: 395,000원
  • 3인: 470,000원
  • 4인: 545,000원

📍 경기·인천(2급지): 1인 기준 281,000원
📍 광역시·세종(3급지): 1인 기준 228,000원
📍 그 외 지역(4급지): 1인 기준 191,000원

✅ 실제 월세가 이 상한액 이하라면 전액 지원 가능

🟧 추가 팁:
자가가구는 ‘주택 노후도’에 따라 수선비용 지원도 가능합니다.


✅ 자동차 기준 완화 – 수급 가능성 높아졌습니다

2025년부터 자동차 기준이 완화되면서,
📌 이전엔 탈락했던 분들도 다시 수급 가능성이 생겼습니다.

  • 기준 변경: 1,600cc·200만 원 → 2,000cc·500만 원 미만 차량 허용
  • 소득 환산율: 기존 100% → 4.17%로 변경

📌 예: 500만 원 차량 → 월 소득 20,850원으로 계산됨

➡️ 자동차 때문에 탈락했다면, 지금 재신청 검토 꼭 필요합니다.


✅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 – 지금 내 상황 점검하세요

✅ 고금리 예금 이자 많아지셨나요?
✅ 부동산 매도 후 현금 많아지셨나요?
✅ 근로소득이 112만 원을 넘으셨나요?
✅ 자동차 바꾸셨나요?
✅ 1년 전엔 탈락했지만, 지금 소득이 줄었나요?

📌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2025년 기준으로 다시 수급 가능성 열려 있습니다.


✅ 신청 루틴 – 지금부터 이렇게 하세요

  1.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 ‘기초생활보장 신청’ 요청
  2.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등 서류 지참
  3. 소득·재산 조사 후 수급자격 결정 (최대 30일 소요)

📍 온라인 신청도 가능:

  • 복지로(www.bokjiro.go.kr) → 생계급여·주거급여 메뉴 선택 → 신청

📌 혼자 하기 어렵다면 가족이 대신 신청 가능합니다.


📌 마무리 – “내 통장에 들어올 수 있었던 돈, 놓치지 마세요”

생계급여·주거급여는 내가 먼저 챙겨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정부는 매년 제도를 바꾸지만,
📌 신청자는 가만히 있으면 아무것도 받을 수 없습니다.

✅ 지금 점검할 것:

  • 주민센터 상담 또는 복지로 모의계산
  • 기준 중위소득 + 자동차 조건 + 소득기준 비교
  • 필요서류 준비 후 빠르게 신청

💡 그리고 아직 모르는 혜택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정부지원금 총정리 – 10가지 복지 놓치지 마세요

매달 수십만 원의 현금 + 월세 지원,
지금 알아야 받습니다. 지금 바로 움직이세요.


#2025생계급여 #기준중위소득 #주거급여변경 #자동차재산기준 #복지로신청 #기초생활보장제도 #정부지원금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