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복지 혜택 💰

2025년 생계급여·주거급여 대폭 인상! 1인 가구 최대 76만 원, 지금 확인하세요

by 김다2302 2025. 4. 19.

"2025년 주거급여 및 생계급여 수급 조건을 상징하는 그림 – 가구원 수에 따른 지급금, 차량 보유, 신청서 확인 등의 아이콘이 함께 표현된 인포그래픽"

물가가 오르고 생활비가 빠듯해질수록 정부의 복지 혜택은 더욱 절실해집니다.
특히 1인 가구, 고령자, 무직자 또는 소득이 적은 근로자분들은 매달 들어오는 생계급여와 주거급여가 큰 힘이 됩니다. 그런데 2025년부터 이 혜택이 더 커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정부가 발표한 2025년 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안에 따라,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기준이 대폭 인상되고, 신청 기준도 완화되어 더 많은 분들이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바뀐 지원금 규모와 기준, 그리고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보세요.


생활비는 오르는데 혜택은 모르고 지나치는 분들

최근 전기세, 교통비, 식비 등 모든 생활비가 오르면서 한 달을 채우는 게 점점 더 벅차졌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분들이나 일용직·비정규직 근로자, 고정수입이 없는 분들은 매달의 고정 지출을 감당하는 것도 쉽지 않죠.

그런데 알고 보면 국가에서 매달 현금으로 지원해주는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혜택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몰라서 못 받는 상황, 너무 억울하지 않나요?

이 제도는 매달 통장으로 직접 지급되는 혜택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안 될 것 같아서 아예 알아보지도 않았다"
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기준이 달라집니다.

  • 소득이 조금 있어도,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이면 생계급여 신청 가능
  • 자동차 보유자도, 일정 조건 충족 시 수급 가능
  • 주거비가 부담돼도,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이면 주거급여 신청 가능

즉, 과거에 안 되었던 분들도 2025년엔 새롭게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입니다.


2025년 생계급여,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보건복지부는 2025년 생계급여 지급 상한선을 다음과 같이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가구원 수 생계급여 상한액 (2025년)

1인 가구 765,444원
2인 가구 1,258,451원
3인 가구 1,608,113원
4인 가구 1,951,287원
5인 가구 2,274,621원
6인 가구 2,580,738원

이 금액은 본인 소득이 없는 경우 전액 수령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인 가구이며 소득이 50만 원일 경우, 약 26만 원 정도를 지급받게 되는 방식입니다.

✅ 자세한 계산 기준은 2026년 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 예고 미리보기에서 확인해보세요.


자동차 있어도 신청 가능? 2025년부터 기준 완화

기존에는 1,600cc 이상 차량이나 차량가액이 200만 원을 초과하면 수급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다음과 같이 기준이 바뀝니다.

  • 인정 범위: 2,000cc 이하 또는 차량가액 500만 원 미만
  • 소득 환산율: 4.17% 적용, 차량가액 500만 원이면 월 20,850원만 소득으로 계산

즉, 자동차가 있어도 기준에 부합하면 생계급여 수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주거급여도 인상! 가구 수·지역별 상세 정리

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에 적용되며, 2025년엔 다음과 같은 금액으로 인상됩니다.

서울(1급지) 기준:

  • 1인 가구: 352,000원
  • 2인 가구: 395,000원
  • 3인 가구: 470,000원
  • 4인 가구: 545,000원

경기·인천(2급지):

  • 1인 가구: 281,000원
  • 2인 가구: 314,000원
  • 3인 가구: 375,000원
  • 4인 가구: 430,000원

**지방(3~4급지)**는 주거급여 최대 66만 원 지급 안내 글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가 가구일 경우에는 노후도에 따라 수선비 지원도 이루어지며, 최대 1,601만 원까지 수령 가능합니다.


신청 방법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신청은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민등록증
  • 가족관계증명서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및 납부확인서
  • 소득증빙자료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
  • 임대차 계약서 또는 주택관련 서류 (주거급여의 경우)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는 신청 기준에 따라 심사를 거쳐 매월 현금으로 지급되며, 소급 적용은 되지 않기 때문에 늦기 전에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신청하지 않으면, 놓칠 수도 있는 혜택

앞서 설명드린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는 매월 현금으로 계좌에 직접 입금되는 정기 지원금입니다. 하지만 한 가지 꼭 알아두셔야 할 점이 있습니다. 이 제도는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으며, 반드시 개별 신청과 심사 과정을 거쳐야만 수급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정부가 정한 중위소득 비율만큼 기준이 상향되었기 때문에, 지금은 과거보다 수급 가능성이 높아진 시기입니다. 본인이 해당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몰라서 신청하지 못한 경우, 그동안 수년간 받을 수 있었던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를 모두 놓치고 있었던 셈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 한 번 수급자로 선정되면, 정기적으로 재심사와 소득 확인을 거쳐 지속적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지금의 신청은 향후 수년간의 생계 안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확인해야 할 사항 정리

본인의 가구원 수와 소득 수준 확인

  • 국민건강보험공단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자동차 등 재산 기준 확인

  • 2,000cc 이하, 500만 원 미만 차량 보유 가능 (소득 환산율 4.17%)

임대차 계약서 보유 여부 확인

  • 주거급여는 전세, 월세 모두 해당되며 계약서 필수

필요 서류 사전 준비

  • 신분증, 소득증빙자료, 가족관계증명서 등 필수 서류 미리 준비

신청처 방문 또는 온라인 접수


지금 움직이면 바뀌는 삶, 놓치지 마세요

정부는 매년 수십조 원 규모의 복지 예산을 편성하지만, 이를 실제로 수급받는 국민 비율은 10명 중 3명도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단 하나.

바로 "몰라서" 혹은 "귀찮아서" 신청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의 상황과 조건을 확인하고, ✅ 지금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 후, ✅ 단 10분만 투자해서 신청서를 제출해보세요.

지원 대상이 된다면 매월 수십만 원이 통장에 자동으로 입금되고, 주거급여까지 포함하면 1인 가구 기준 최대 월 11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 경제적 여유는 내일의 선택에서 옵니다. ✔️ 오늘 신청하느냐의 차이가, 다음 달부터의 삶을 바꿉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관련 정보


👉 지금 신청하세요. 놓치면 내 몫이 아닙니다.
👉 매월 받는 현금 지원, 올해 안에 꼭 챙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