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냥 버리긴 아깝고… 어디다 써야 하지?”
대청소하다 보면 서랍 속, 리모컨, 장난감에서 나온 헌 건전지들이 쌓이기 마련입니다.
그냥 버리면 환경오염, 쌓아두면 쓸모 없음,
그런데 이걸 새 건전지로 바꿔주는 제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2025년 기준 폐건전지 교환 방법, 교환 장소,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폐건전지 교환 제도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자원 재활용 장려 정책입니다.
시민이 모은 폐건전지를 일정량 이상 제출하면,
새 건전지(AA 또는 AAA)를 무료로 교환해주는 제도입니다.
✔ 환경 보호 + ✔ 가계 절약 + ✔ 자녀 환경교육 효과까지!
특히 자녀 있는 가정, 1인 가구에 유용한 생활 정보입니다.
🔁 2025년 기준 교환 비율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교환 비율
서울시 등 대다수 | 폐건전지 10개당 새 건전지 2개 |
김해시 | 20개 → 새 건전지 2개 |
원주시 | 20개 → 새 건전지 2개 + 보조배터리 1개 = 폐건전지 5개로 간주 |
창원시 | 10개 → 새 건전지 1세트(2개), 월 최대 8세트 교환 가능 |
📌 1인당 교환 수량 제한(예: 1회 최대 10~30개)이 있는 지역도 있으니
방문 전 전화 문의 필수!
🏢 교환 가능한 장소는?
▶ 동 주민센터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가장 일반적인 교환처
- 방문 전 수량 보유 여부 확인 권장
▶ 시청·구청 환경과
- 자원순환 담당 부서
- 캠페인 기간엔 이벤트성 증정 행사 운영 가능
▶ 학교, 도서관, 아파트 관리사무소
- 지자체와 협약된 경우 공동주택 교환 캠페인 진행
- 아이와 함께 참여하기 좋은 환경교육 기회
▶ 환경 관련 행사장
- 환경의 날(6월), 재활용주간 등에 한정 운영
- 별도 홍보물 참고 필요
⚠️ 교환 시 주의사항
- AA, AAA형 일반 건전지만 가능
→ 리튬 건전지, 충전지, 납축전지 제외 - 단자 손상 없이, 전해액 누출 없는 상태로 보관
- 극(양/음)을 테이프로 감싸 밀봉하면 안전성 ↑
- 다른 폐기물과 섞이지 않게 따로 모아 제출
✅ 폐건전지를 모으면 좋은 이유
효과설명
✅ 자원 재활용 | 건전지엔 철, 아연, 니켈 등 유용한 금속 포함 |
✅ 환경오염 방지 | 무단 투기 시 토양·수질 오염 및 인체 유해성 초래 |
✅ 생활비 절약 | 새 건전지 교환으로 연간 수천~수만 원 절약 |
✅ 자녀 환경교육 | ‘모으는 습관’ 자체가 좋은 교육 도구! |
📌 정리하자면
✔ 폐건전지는 그냥 버리지 말고, 새 건전지로 바꾸자!
✔ 교환은 동주민센터·학교·구청 환경과 등에서 가능
✔ 보관 상태 점검 + 사전 문의 후 방문이 가장 안전
✔ 환경 보호 + 비용 절약 + 교육 효과, 일석삼조
🛠 지금 바로 할 일!
서랍 속 리모컨, 장난감, 시계 안에
잠들어 있는 폐건전지를 꺼내보세요.
생각보다 많은 폐건전지가 쌓여 있을지 모릅니다.
2025년은 작지만 똑똑한 실천으로 시작하세요.
버리는 대신 받는 소비, 지금부터 실천해보세요.